최명길 나이 학력 종교 인스타 빨강구두 우아한모녀 인형의집 펀치

인물정보|2022. 3. 21. 19:00
반응형

최명길 나이 학력 종교 인스타 빨강구두 우아한모녀 인형의집 펀치

 

최명길 프로필

출생
1962년 11월 11일 (59세)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
거주지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신체 162cm, 48kg, AB형, 240mm
가족
배우자 김한길
아들 김어진, 아들 김무진
조카 권율
학력 수도여자고등학교 (졸업)
서울예술대학교 (방송연예과 / 전문학사)
종교 개신교
데뷔 1981년 MBC 13기 공채 탤런트
링크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myungchoi1111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younggilchoi
트위터: https://twitter.com/chgmg

 

 

 

대한민국의 배우.

1981년 MBC 13기 공채 탤런트로 선발돼 연예계에 데뷔하여 1983년 연기대상에서 단번에 신인상을 수상했고 1984년 MBC 조선왕조 500년 시리즈 중 가장 인기 있었던 '설중매'에 정현왕후 역을 맡아 이듬해 '풍란'까지 노년연기까지 펼쳐 스타덤에 올랐다. 이후 '남자의 계절', '도시의 얼굴' 등 인기 드라마에 주연으로 출연하며 동갑인 이혜숙•김청 등과 1980년대 MBC 간판 여자 탤런트로 활동했다.

 

스크린에서도 1987년 안개기둥 등의 주연을 맡아 준수한 흥행과 함께 대종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최명길은 또한 조선왕조 500년의 단골 배우가 됐는데, 1988년 '한중록'에서 혜경궁 홍씨 역을 맡아 사도세자 역을 맡은 동갑인 후배 최수종과 공연했으며 이듬해 이어진 '파문'에서 역시 노년 연기를 선보였다.

 

 

 

활동

 

1990년대에 들어서도 꾸준히 인기를 유지해 브라운관과 스크린을 넘나들며 왕성하게 주연급으로 활동했다. 1990년에 MBC 그 여자의 주연을 맡았는데 이 드라마는 당시 다른 드라마들과는 달리 농촌에서의 일상생활과 도•농 간 가치관의 갈등 등 중산층의 보편적•일상적 소재를 잔잔한 전개로 전달해 호평을 받으며 이례적으로 당시 방송사들이 간판으로 내세우던 주말연속극보다 월등히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고, 최명길은 도시 출신 미술교사에서 농촌생활과 시댁에 적응하는 여인 역을 받아 많은 시청자의 공감을 얻어 그해 연기대상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1993년엔 SBS에 자리를 옮겨 드라마 '결혼'에서 남편에게 배신당하는 역을 사실감 있게 묘사해 화제를 모았고 이듬해 SBS 스타상에서 대상 및 한국방송대상 여자 탤런트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1994년은 수상실적으로 본다면 최명길의 해로 봐도 될 정도로 많은 상을 수상한 해였다.

 

 

 

결혼과 그 이후

 

이렇게 전성기가 최절정을 이뤘던 1995년 3월 22일 소설가 겸 당시 연예정보 프로그램 진행자였던 김한길과 결혼식을 올렸다. 결혼 이후 1996년 말에 용의 눈물에서 강단 있는 원경왕후 역으로 성공적으로 복귀했고 출연 도중 임신하는 겹경사까지 이뤄 1998년 분량을 모두 촬영한 후 출산을 하기도 했다.

고급스런 이미지 덕분에 1990년대 초중반 당시 최고의 백화점 중 하나였던 삼풍백화점의 전속모델을 맡기도 했다. TV 광고뿐만 아니라 백화점 전단 광고에도 나왔고 백화점 경품행사에도 초청되었었다. 삼풍백화점의 전성기를 장식하는 1994년 다이아몬드 편 광고는 그 중 백미.

그 후 《용의 눈물》과 《대왕 세종》에서 태종의 비인 원경왕후 역할을 맡았다. 그리고 이미연이 《명성황후》 횟수 연장에 반대하다, 결국 하차하여 말년은 최명길이 맡았는데, 이미 그 전에 MBC 《한미백년》에서 단역이나마 같은 역을 한 적이 있었다. 이 때문에 여흥 민씨 출신의 왕비 2명을 각각 2번 이상이나 연기한 배우가 되었다.

 

 

 

드라마

방영 연도 제목 배역 비고
1981년 성난 눈동자 은숙  
1982년
미련    
어제, 그리고 내일
   
황진이 부용  
1983년 겨울 해바라기    
1983년 조선왕조 오백년:추동궁마마
고려 왕족의 딸 선이(옥세운의 어머니)
 
1984년
사랑과 진실 정자  
조선왕조 오백년:설중매 정현왕후  
1985년
조선왕조 오백년:풍란
자순대비(정현왕후)
 
남자의 계절 박미란
주연
1987년 도시의 얼굴 이정화
1988년
세 여인 이민자
조선왕조 오백년:한중록 혜경궁 홍씨
1989년 조선왕조 오백년:파문 혜경궁 홍씨
1990년 그 여자 한재숙
1991년
또 하나의 행복 차문영
사랑의 풍차  
1992년
궁합이 맞습니다 서현자
재회 지혜
1993년 결혼 나지영
1994년 사랑은 없다 한소진
1996년 용의 눈물 원경왕후
2000년
깁스가족 조아라
온달왕자들 김영숙
2001년 명성황후 명성황후
2003년 태양의 남쪽 정연희
2005년 꽃보다 여자 김정아
2007년 내 곁에 있어 장선희
2008년 대왕 세종 원경왕후 특별출연
2009년
미워도 다시 한번 2009 한명인
주연
천하무적 이평강 제왕후
2010년
근초고왕 해비 해소술
조연
폭풍의 연인 서윤희
2011년
미스 리플리 이화/김정순
영광의 재인 박군자
2013년
금 나와라, 뚝딱! 윤심덕
미래의 선택 큰 미래 주연
2014년 펀치 윤지숙 조연
2015년
파랑새의 집 한선희
주연
드라마 스페셜 - 계약의 사내 성수영
우리집 꿀단지 배국희
2016년
당신은 선물 은영애
안투라지 강옥자 조연
2018년 인형의 집 금영숙
주연
2019년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전인숙
우아한 모녀 차미연/캐리 정
2020년 그놈이 그놈이다 김선희/김수정
2021년 빨강 구두 민희경

 

 

 

영화

개봉 연도 제목 배역
1983년 연인들의 이야기  
1984년 푸른 하늘 은하수  
1986년
안개기둥
눈짓에서 몸짓까지
 
밤의 요정  
1989년 밀월 유진
1990년 우묵배미의 사랑 공례
1994년 장미빛 인생 마담

 

수상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1983년 MBC 연기대상 여자 신인상
조선왕조 오백년 - 추동궁 마마
1985년
제21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베스트셀러극장 - 여자를 찾습니다
MBC 연기대상 여자 우수상
조선왕조 오백년 - 설중매
1986년 제25회 대종상 여우주연상 안개기둥
1988년 MBC 연기대상 라디오 MC상  
1990년 MBC 연기대상 여자 최우수상 그 여자
1994년
낭트영화제 최우수 여우주연상
장미빛 인생
제15회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SBS 연기대상 대상 결혼
제21회 한국방송대상
탤런트부문 개인상
 
제5회 춘사영화상 심사위원특별상 장미빛 인생
MBC 연기대상 라디오부문 최우수상 음악살롱
1995년
제31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장미빛 인생
제15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상
1997년
KBS 연기대상 여자 최우수연기상
용의 눈물
그리메상 여자 최우수연기상
2002년 KBS 연기대상 여자 최우수연기상 명성황후
2003년 SBS 연기대상 연속극 여자 연기상, 10대 스타상 태양의 남쪽
2007년 MBC 연기대상 연속극 황금연기상 내 곁에 있어
2015년 SBS 연기대상 중편드라마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펀치

 

 

 

https://www.youtube.com/watch?v=7yeYWFhwVew 

 

반응형

댓글()